다음 빈칸에 들어갈 말로 가장 적절한 것은?
We apply a finite set of explanations in many different contexts without considering the subtleties of each situation. This is the "one-size-fits-all" approach to problem solving. People who take this approach have blind spots, areas where they fail to recognize that they are missing important things about a situation. Not only do their solutions often fail, they may not even recognize those failures, much less learn from them so they can devise better solutions. Instead they tend to ___________.
This is moving in the wrong direction of the feedback loop, from knowledge to reality. It is starting with what we already believe and insisting that reality fit it. This is not the same as having core values. Core values can still be adapted to fit a variety of circumstances. The problem comes when those values become so rigid that they no longer work well in some situations, when they're applied arbitrarily without carefully evaluating their impact. This happens when we're no longer willing to ask ourselves the tough questions, when relevant feedback is ignored or dismissed.
① force the data to fit their preconceived ideas
② accept that reality is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③ be strict towards themselves but slow in judging others
④ collect as many details and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⑤ change their approaches arbitrarily without any consistent logic
<해석 및 풀이>
We apply a finite set of explanations / in many different contexts / without considering the subtleties of each situation.
우리는 한정된 일련의 설명을 적용한다 / 많은 다른 상황에서 / 각 상황의 세부 사항들을 고려하지 않고.
▶ subtlety : 중요한 세부 요소(사항)들
This is the "one-size-fits-all" approach to problem solving. / People (who take this approach) have blind spots, / areas (where they fail to recognize / that they are missing important things about a situation).
이것이 문제 해결에 대한 "일률적인" 접근법이다.
이런 접근법을 취하는 사람들은 맹점을 가지고 있다 / 즉, 그들이 인식하지 못하는 영역
/ 그들이 상황에 대해 중요한 점을 놓치고 있다는 것을.
▶ blind spot : 맹점, 사각지대
recognize : 인식하다
Not only do their solutions often fail, / they may not even recognize those failures, / much less learn from them / so they can devise better solutions.
그들의 해결책은 흔히 실패할 뿐만 아니라 / 그들은 그런 실패들을 인식조차도 못할지 모른다 / 그것들로부터 배우기는커녕 / 그들이 더 나은 해결책을 고안할 수 있도록.
▶ so (that) : ~하기 위해서 라는 뜻으로 that 이 생략될 수 있다
much less : 하물며 ~은 아니다, ~이기는커녕
devise : 고안하다
Instead they tend to ___________.
This is moving in the wrong direction / of the feedback loop, / from knowledge to reality.
대신에 그들은 _____________ 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잘못된 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이다 / 피드백 루프의 / 지식에서 현실로.
▶ feedback loop ; 피드백 루프 (어떤 시스템에서 입력, 처리, 출력, 입력의 순으로 결과를 자동적으로 재투입하도록 설정된 순환 회로
It is starting with what we already believe / and insisting that reality fit it.
This is not the same as having core values.
그것은 우리가 이미 믿는것으로 시작한다 / 그리고 현실이 그것에 맞아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것은 핵심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과 같지 않다.
Core values can still be adapted / to fit a variety of circumstances.
The problem comes / when those values become so rigid / that they no longer work well in some situations, / when they're applied arbitrarily / without carefully evaluating their impact.
핵심 가치는 여전히 조정될 수 있다 / 다양한 상황에 맞게.
문제는 나온다 / 그런 가치들이 너무 경직되어 / 어떤 상황에서 더이상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 그때는 그 가치들이 임의로 적용된다 / 그 영향을 주의깊게 평가하지 않고.
▶ circumstance : 상황
rigid : 경직된
arbitrarily : 임의로
evaluate : 평가하다
This happens / when we're no longer willing to ask ourselves the tough questions, / when relevant feedback is ignored or dismissed.
이것은 발생한다 / 우리가 더이상 스스로에게 어려운 질문을 기꺼이 하고자 하지 않을 때 / 그때는 관련된 피드백이 무시되거나 묵살된다.
▶ no longer : 더이상 ~않다
willing to : 기꺼이 ~하다
tough : 어려운
relevant : 관련된
dismiss : 묵살하다
① force the data to fit their preconceived ideas
자신들의 선입견에 자료를 억지로 끼워 맞추려 하는
② accept that reality is different for each individual
현실은 개인마다 다르다는 것을 인정하는
③ be strict towards themselves but slow in judging others
자신에게 엄격하지만 다른 사람을 판단할 때는 더딘
④ collect as many details and as much information as possible
가능한 한 많은 세부 사실과 많은 정보를 수집하는
⑤ change their approaches arbitrarily without any consistent logic
어떤 일관된 논리 없이 자신의 접근법을 임의로 바꾸는
▶ preconceived idea : 선입견
consistent : 일관된
logic : 논리
우리는 각 상황의 중요한 세부 사항들을 고려하지 않고 여러 다른 상황에서 한정된 일련의 설명을 적용한다. 이것이 문제 해결에 대한 "일률적인" 접근법이다. 이러한 접근법을 취하는 사람들에게는 맹점, 즉 그들이 어떤 상황에 관해 중요한 점을 놓치고 있다는 것을 인식하지 못하는 영역이 있다. 그들의 해결책은 흔히 실패할 뿐만 아니라, 그들은 더 나은 해결책을 고안할 수 있도록 그 실패로부터 배우기는커녕 그 실패를 인식하지 못할지도 모른다. 대신에 그들은 자신들의 선입견에 자료를 억지로 끼워 맞추려 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피드백 루프의 잘못된 방향, 곧 지식에서 현실로 움직이는 것이다. 그것은 우리가 이미 믿는 것을 가지고 시작하여 현실이 그것에 맞아야 한다고 주장하는 것이다. 이것은 핵심 가치를 가지고 있는 것과 같지 않다. 핵심 가치는 여전히 다양한 상황에 맞게 조정될 수 있다. 문제는 그러한 가치가 지나치게 경직되어 어떤 상황에서 더이상 제대로 작동하지 않을 때 생기는데, 그때는 그 영향을 주의 깊게 평가하지 않고 그 가치들이 임의로 적용된다. 이런 일은 우리가 스스로에게 어려운 질문을 더는 기꺼이 하고자 하지 않을 때 발생하며, 그럴 경우는 관련된 피드백이 무시되거나 묵살된다.
'2022수능특강(영어독해연습)' 카테고리의 다른 글
4강-5번 빈칸추론 (0) | 2021.08.16 |
---|---|
4강-4번 빈칸추론 (0) | 2021.08.15 |
3강-9번 빈칸추론 (0) | 2021.08.09 |
2강-5번 빈칸추론 (0) | 2021.08.08 |
1강-11번 빈칸추론 (0) | 2021.08.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