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고3모의고사

2019년9월모의고사(평가원)23번 - 주제찾기

by 애니원캔두잇 2021. 7. 24.

다음 글의 주제로 가장 적절한 것은?

 

1950s critics separated themselves from the masses by rejecting the 'natural' enjoyment afforded by products of mass culture through judgments based on a refined sense of realism. For example, in most critics championing Douglas Sirk's films' social critique, self-reflexivity, and, in particular, distancing effects, there is still a refusal of the 'vulgar' enjoyments suspected of soap operas. This refusal again functions to divorce the critic from an image of a mindless, pleasure-seeking crowd he or she has actually manufactured in oreder to definitively secure the righteous logic of 'good' taste. It also pushes negative notions of female taste and subjectivity. Critiques of mass culture seem always to bring to mind a disrespectful image of the feminine to represent the depths of the corruption of the people. The process of taste-making operated, then, to create hierarchical differences between the aesthete and the masses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esthetic positions contrary to the perceived tasteless pleasures of the crowd.

 

① critics' negative view on popular tastes and its effects

② criticism of cultural hierarchy in soap operas and films

③ side effects of popularized cultural products on crowds

④ resistance of the masses to cultural separations and its origins

⑤ critics' tendency to identify the refined

 


<해석 및 풀이>

 

1950s critics separated themselves from the masses / by rejecting the 'natural' enjoyment (afforded by products of mass culture) / through judgments (based on a refined sense of realism).

 

1950년대 비평가들은 스스로를 대중들로부터 분리시켰다 / 대중문화의 산물들에 의해 제공되는 '자연스러운' 즐거움을 거부함으로써 /

사실주의의 고상한 의식에 기초한 판단을 통해.

 

▶ refined : 고상한

     realism : 사실주의

 

 

For example, in most critics / championing Douglas Sirk's films' social critique, self-reflexivity, and, (in particular), distancing effects, / there is still a refusal of the 'vulgar' enjoyments / suspected of soap operas.

 

예를 들어, 대부분의 비평가들에게는 / Dougals Sirk가 만든 영화의 사회 비평, 자기 반영성 그리고 특히 거리두기를 옹호하는 /

여전히 '저속한' 즐거움에 대한 거부가 있다 / 연속극에 있지 않을까 하고 생각되는.

 

▶ champion : 옹호하다

     vulgar : 저속한, 천박한

     suspect : ~이 아닐까 하고 생각하다

 

 

This refusal again functions / to divorce the critic from an image / of a mindless, pleasure-seeking crowd (he or she has actually manufactured) / in oreder to definitively secure the righteous logic of 'good' taste.

 

이런 거부는 다시 기능을 한다 / 이미지로부터 비평가를 분리하는 / 실제로 그 또는 그녀가 만들어 낸 아무 생각 없고 즐거움만 추구하는 군중의 /

'훌륭한' 취향의 정당한 논리를 분명히 확보하기 위해.

 

▶ divorce :  분리하다, 단절시키다

     secure : 확보하다

     righteous : 옳은, 당연한

 

 

 It also pushes negative notions / of female taste and subjectivity.

Critiques of mass culture seem (always) to bring to mind / a disrespectful image of the feminine / to represent the depths of the corruption of the people.

 

그것은 또한 부정적인 개념을 강요한다 / 여성 취향과 주관성이라는.

대중문화의 비평들은 항상 상기시키는 것 같다 / 여성성의 경멸적 이미지를 / 사람들의 타락의 깊이를 나타내기 위해.

 

▶ notion : 개념

     subjectivity : 주관성

     bring to mind : 상키시키다

     disrespectful : 경멸하는, 무례한

     corruption : 타락

 

 

The process of taste-making operated, (then), / to create hierarchical differences / between the aesthete and the masses / through the construction of aesthetic positions / contrary to the perceived tasteless pleasures of the crowd.

 

그런 다음 취향 만들기의 과정이 작용하여 / 위계상의 차이를 만들어냈다 / 심미주의자들과 대중 사이에 /

미학적 입장의 구축을 통해서 / 군중의 인지된 무취향적 즐거움과는 상반되는.

 

▶ operate : 작동되다, 작용하다

     hierarchical : 계층의, 계급의

     aesthete : 심미주의자

 

 


① critics' negative view on popular tastes and its effects

      대중적 취향에 대한 비평가들의 부정적인 견해와 그것의 영향

② criticism of cultural hierarchy in soap operas and films

     연속극과 영화에 나타난 문화적 계층에 대한 비판

③ side effects of popularized cultural products on crowds

    대중화된 문화 상품이 사람들에게 미치는 부작용

④ resistance of the masses to cultural separations and its origins

     문화적 분리에 대한 대중의 저항과 그것의 기원

⑤ critics' tendency to identify the refined

     대중의 고상한 취향을 확인하는 비평가들의 경향

 

 

1950년대 비평가들은 사실주의의 고상한 의식에 기초한 판단을 통해 대중문화의 산물들이 제공하는 '자연스러운' 즐거움을 거부함으로써 스스로를 대중들과 분리시켰다. 예를 들어, Douglas Sirk가 만든 영화의 사회 비평, 자기 반영성, 그리고 특히 거리 두기 효과를 옹호하는 대부분의 비평가들에게는, 연속극에 있지 않을까 하고 생각되는 '저속한' 즐거움에 대한 거부가 여전히 있다. 이런 거부는 다시, '훌륭한' 취향의 정당한 논리를 분명히 확보하기 위해 실제로는 비평가가 만들어 낸 아무 생각 없고 즐거움만 추구하는 군중의 이미지로부터 그를 분리하는 기능을 한다. 그것은 또한 여성 취향과 주관성이라는 부정적인 개념을 강요한다. 대중문화의 비평들은 항상 사람들의 타락의 깊이를 나타내기 위해 여성성의 경멸적 이미지를 상기시키는 것 같다. 그런 다음 취향 만들기의 과정이 작용하여, 군중의 인지된 무취향적 즐거움과는 상반되는 미학적 입장의 구축을 통해서, 심미주의자들과 대중 사이에 위계상의 차이를 만들어 냈다.